한글, 문화, 역사, 기타
[역사문화연구회 활동보고서] 2012년 10월 10일 입력
역사
작성자
Naksnec
작성일
2020-07-24 15:39
조회
3641
역사문화 연구위원회는 2011년 12월에 ‘재미있는 역사교실을 만들자’는 취지로 처음 발족된 이래 매월 정기모임을 가져왔습니다. 위원회의 연구활동 목적은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역사 수업을 위해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교수법과 학습활동 그리고 적절한 교재를 개발하고 보급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 왔습니다. 현재까지 모두 7차에 걸쳐 진행된 모임을 통해 다양한 학습활동과 교수법 등에 대한 논의를 하였습니다. 다음은 그동안의 활동 사항을 정리한 것입니다.
1. 교수법 개발
1) 학습지도계획안 작성
수업을 준비하는 바람직한 자세로 짜임새있고 효율적인 수업을 위해 구체적인
수업내용과 학습활동, 자료에 대한 계획을 정리하고 준비한다.
2) 한국어 수업 중에 함께 배우는 역사/문화
* 실학과 정약용 : 대화체 형식의 지문을 작성하여 읽기자료로 수업에 활용하고
정약용에 대한 미니북을 만드는 학습활동과 단어 퍼즐맞추기로 연결
3) 비교 수업;
* 한국사의 인물과 세계사의 인물 비교
- 장영실과 에디슨을 비교한 학습, 이순신과 넬슨 제독, 김구와 간디/만델라
* 사건 비교
- 남북전쟁과 6.25전쟁, 강화도 조약과 난징 조약, 갑신정변과 메이지 유신
* 사회 문화 비교
- 로마의 노예제도/ 인도의 카스트제도/ 신라의 골품제도 /조선의 신분제도
* 과거와 현재 비교
- 한옥과 아파트의 장단점 비교
4) 유네스코 문화재를 활용한 수업
*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여 유네스코 문화재를 소개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 낸다.
5) 학습활동 활용: 역사적 사실, 인물, 물건 등을 더 쉽게 이해하고 재미있게 배우기
위해 다양한 학습활동을 활용한다.
6) 게임 활용 : 배운 내용을 재미있게 익힐 수 있는 게임을 적절히 활용하여 수업에
활기를 주고 흥미를 갖게 한다.
* 역사용어 이구동성 게임, 뿅망치 게임, 한글 자모를 힌트로 주고
역사 관련 단어 맞히기, 낱말 퍼즐 맞추기 등
7) 학습지 활용: 학습지를 활용하여 그 날 배운 용어와 내용을 정리한다.
8) 놀이를 통한 한국 문화 수업 : 윷놀이, 제기 차기, 연 날리기, 애국가 부르기 대회 등
2. 구체적인 학습활동의 예
* 찰흙으로 마패, 고인돌 만들고 게임까지 연결시키기.
* 신라 금관, 다보탑, 거북선 등의 모형 만들기.
* 명절 때 실제 차례상 차려서 차례 지내기.
* 조상들이 먹었던 음식 만들어 먹기
* K-pop, 한국 드라마나 타큐멘타리 등 대중문화를 이용하기.
* 인물, 유물, 유적, 지도 등의 사진, 그림 자료를 붙여서 미니 북 만들어 보기.
* 역사 용어로 단어장 만들기
* '한국을 알자'에 나오는 다양한 학습활동 자료 이용하기
* 관련 지도 그려 보기
* 학생들이 자신과 같은 family name을 가진 역사 인물 찾아보기
* 우편 엽서 활용 : 역사문화와 관련된 내용이 담긴 엽서 활용하기
3. 재외동포를 위한 역사교재 개발에 대한 논의
한국인들의 이민 역사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새로운 교재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고 이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기존에 발행된 <<재미한국인의 발자취 Korean American Journey >> 와 같은 자료들을 바탕으로 한인들의 이민사를 좀 더 체계적으로 정리해서 미국 뿐만이 아니라 전세계에 흩어져 살고 있는 한인들의 이민 역사를 담은 새로운 교재를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이 모아졌습니다. 이민사를 정리해서 새로운 역사교재를 개발하려는 것은 전 세계에 이주해 살고 있는 한인 동포의 존재를 알리고 그 기원을 알아봄으로써 우리 교민들과 자라나는 2세들에게 올바른 역사의식과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게 하자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4. 역사문화 교육 현황에 대한 설문 조사 실시
역사문화 연구위원회가 계획하고 추진하고자 하는 일들을 좀 더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재 각 한국학교의 역사문화 교육 현황을 정확하게 아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취지에서 연구 위원회에서는 간단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소속 학교에 e-mail을 보내고 교사의 밤 행사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모두 16개 학교가 설문조사에 협조해 주셨습니다.
5. 시청각 수업을 위한 참고자료 정리
* 한국 문화원이나 반크에서 유네스코나 문화 관련 CD를 구할 수 있습니다.
* 아래 웹사이트에서 자료를 구할 수 있습니다.
http://www.korean.net
http://www.studykorean
문화재청 http://www.cha.go.kr/main/KorIndex!korMain.action
한국관광공사 http://www.visitkorea.or.kr/intro.html
6. 동북부 교사 연수회에서 발표한 내용과 담당 교사
1) 한국사의 인물과 세계사의 인물을 비교하는 수업 - 정광현 (아콜라 한국문화학교 교사)
2) 한국어 시간에 역사와 문화를 함께 배우는 수업 – 김수미 (팰리세이드 한국학교 교사)
3) 유네스코 문화재를 이용한 역사/문화 수업 자료 개발 – 김희주 (맨해튼 한국학교 교사)
4) 교과서와 학습지를 활용하는 역사 수업 – 장경은 (뉴져지 한국학교 교사)
2012년 10월 10일
역사문화 연구위원회 배상
1. 교수법 개발
1) 학습지도계획안 작성
수업을 준비하는 바람직한 자세로 짜임새있고 효율적인 수업을 위해 구체적인
수업내용과 학습활동, 자료에 대한 계획을 정리하고 준비한다.
2) 한국어 수업 중에 함께 배우는 역사/문화
* 실학과 정약용 : 대화체 형식의 지문을 작성하여 읽기자료로 수업에 활용하고
정약용에 대한 미니북을 만드는 학습활동과 단어 퍼즐맞추기로 연결
3) 비교 수업;
* 한국사의 인물과 세계사의 인물 비교
- 장영실과 에디슨을 비교한 학습, 이순신과 넬슨 제독, 김구와 간디/만델라
* 사건 비교
- 남북전쟁과 6.25전쟁, 강화도 조약과 난징 조약, 갑신정변과 메이지 유신
* 사회 문화 비교
- 로마의 노예제도/ 인도의 카스트제도/ 신라의 골품제도 /조선의 신분제도
* 과거와 현재 비교
- 한옥과 아파트의 장단점 비교
4) 유네스코 문화재를 활용한 수업
*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여 유네스코 문화재를 소개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 낸다.
5) 학습활동 활용: 역사적 사실, 인물, 물건 등을 더 쉽게 이해하고 재미있게 배우기
위해 다양한 학습활동을 활용한다.
6) 게임 활용 : 배운 내용을 재미있게 익힐 수 있는 게임을 적절히 활용하여 수업에
활기를 주고 흥미를 갖게 한다.
* 역사용어 이구동성 게임, 뿅망치 게임, 한글 자모를 힌트로 주고
역사 관련 단어 맞히기, 낱말 퍼즐 맞추기 등
7) 학습지 활용: 학습지를 활용하여 그 날 배운 용어와 내용을 정리한다.
8) 놀이를 통한 한국 문화 수업 : 윷놀이, 제기 차기, 연 날리기, 애국가 부르기 대회 등
2. 구체적인 학습활동의 예
* 찰흙으로 마패, 고인돌 만들고 게임까지 연결시키기.
* 신라 금관, 다보탑, 거북선 등의 모형 만들기.
* 명절 때 실제 차례상 차려서 차례 지내기.
* 조상들이 먹었던 음식 만들어 먹기
* K-pop, 한국 드라마나 타큐멘타리 등 대중문화를 이용하기.
* 인물, 유물, 유적, 지도 등의 사진, 그림 자료를 붙여서 미니 북 만들어 보기.
* 역사 용어로 단어장 만들기
* '한국을 알자'에 나오는 다양한 학습활동 자료 이용하기
* 관련 지도 그려 보기
* 학생들이 자신과 같은 family name을 가진 역사 인물 찾아보기
* 우편 엽서 활용 : 역사문화와 관련된 내용이 담긴 엽서 활용하기
3. 재외동포를 위한 역사교재 개발에 대한 논의
한국인들의 이민 역사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새로운 교재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고 이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기존에 발행된 <<재미한국인의 발자취 Korean American Journey >> 와 같은 자료들을 바탕으로 한인들의 이민사를 좀 더 체계적으로 정리해서 미국 뿐만이 아니라 전세계에 흩어져 살고 있는 한인들의 이민 역사를 담은 새로운 교재를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이 모아졌습니다. 이민사를 정리해서 새로운 역사교재를 개발하려는 것은 전 세계에 이주해 살고 있는 한인 동포의 존재를 알리고 그 기원을 알아봄으로써 우리 교민들과 자라나는 2세들에게 올바른 역사의식과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게 하자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4. 역사문화 교육 현황에 대한 설문 조사 실시
역사문화 연구위원회가 계획하고 추진하고자 하는 일들을 좀 더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재 각 한국학교의 역사문화 교육 현황을 정확하게 아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취지에서 연구 위원회에서는 간단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소속 학교에 e-mail을 보내고 교사의 밤 행사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모두 16개 학교가 설문조사에 협조해 주셨습니다.
5. 시청각 수업을 위한 참고자료 정리
* 한국 문화원이나 반크에서 유네스코나 문화 관련 CD를 구할 수 있습니다.
* 아래 웹사이트에서 자료를 구할 수 있습니다.
http://www.korean.net
http://www.studykorean
문화재청 http://www.cha.go.kr/main/KorIndex!korMain.action
한국관광공사 http://www.visitkorea.or.kr/intro.html
6. 동북부 교사 연수회에서 발표한 내용과 담당 교사
1) 한국사의 인물과 세계사의 인물을 비교하는 수업 - 정광현 (아콜라 한국문화학교 교사)
2) 한국어 시간에 역사와 문화를 함께 배우는 수업 – 김수미 (팰리세이드 한국학교 교사)
3) 유네스코 문화재를 이용한 역사/문화 수업 자료 개발 – 김희주 (맨해튼 한국학교 교사)
4) 교과서와 학습지를 활용하는 역사 수업 – 장경은 (뉴져지 한국학교 교사)
2012년 10월 10일
역사문화 연구위원회 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