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문화, 역사, 기타
[제 5차 역사문화연구위원회 모임] 2012년 4월 23일 입력
역사
작성자
Naksnec
작성일
2020-07-24 14:55
조회
3766
[제 5차 역사문화연구위원회 모임] 2012년 4월 23일 입력
안녕하세요!
지난 4월 14일에 성바오로 정하상 한국학교에서 제 5차 역사문화 연구위원회 모임이 있었습니다. 이번 모임의 주된 내용은 지난 모임에서 과제로 주어졌던 수업 지도안과 실제 수업 사례를 발표하고, 이에 대한 다른 선생님들의 의견을 들어보는 것이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임종각 선생님 - 한국어 수업 중에 함께 배우는 역사/문화 (대상: 5~7학년)
1) 수업 사례 발표
- 한국어 낱말 퍼즐을 할 때 역사 관련 어휘를 섞어, 관련 어휘가 나올 때마다 역사를 간단하게 설명해 주기
2) 다른 선생님들의 의견
- 학생들의 관심을 유발할 방법에 관한 고민이 필요
예) 학생들에게 일반 단어와 역사 관련 단어를 나누어 제시하고, 역사 관련 낱말을 찾는 학생에게 플러스 점수를 주기
- 시대별, 또는 주제별 낱말을 제시하여 역사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도울 필요
3) 다음 과제 : 금속활자
2. 김지선 선생님 - 한국 문화 수업 (2~3학년)
1) 수업 사례 발표 : 놀이를 통한 한국 문화 수업 사례
- 윷놀이 : 윷에 대한 설명과 놀이 방법을 알려주고, 윷놀이하기
- 태극기 : 건/곤/감/리의 의미를 알고, 직접 태극기를 그리고, 만들어 보기
- 애국가 부르기 대회 : 애국가에 나오는 단어들로 ‘이구동성’ 게임 하기
2) 다른 선생님들의 의견
- 충분한 수업 자료 필요
예) 윷놀이 : ‘도/개/걸/윷/모’가 부여 관직의 이름을 알려주면서 부여에 관한 역사 수업을 곁들인다거나, 학생들이 직접 말이 되는 큰 윷놀이하기
예) 태극기 :원래 태극 무늬가 빨강/노랑/파랑 3색 태극이었고, 이것이 천/지/인을 상징한다는 등의 설명을 함께 해 주기
- 한 가지 주제로 초급뿐만 아니라, 중급/고급에서도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 방안 모색이 필요
3) 다음 과제 : 놀이를 통한 한국 문화 수업(초급뿐만 아니라, 중급/ 고급에서도 할 수 있는 활동 방안 모색)
3. 김수미 선생님 - 한국어 수업 중에 함께 배우는 역사/문화
1) 수업 사례 발표 : 한국어 읽기 시간에 함께 배우는 역사 수업 사례
- 정약용과 실학 사상 : 정약용에 관련된 읽기 자료 제시, 낱말 퍼즐을 통한 단어 학습 (첨부 자료 참고)
2) 다른 선생님들의 의견
- 보다 쉬운 읽기 자료 제시 필요
예1) 어려운 실학이 아닌 정약용의 삶에 초점을 맞추어 수업하기. 이때, 정약용과 비교 가능한 인물, 또는 이야기(정약용의 조카인 정하상 / 이민 1세대의 삶과 정약용의 유배 생활) 등을 곁들여 학생들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예2) 읽기 자료를 독해 지문이 아닌 대화문으로 제시하거나, 영어 설명을 첨부하기
- 다양한 수업 활동 방안 모색
예) 정약용에 관한 작은 책 만들기
- 역사 공부를 위한 한국어 수업이 되지 않도록 주어진 한국어 교재 안에서 역사 관련 주제를 찾아보기
예) <맞춤 한국어 6> 13과 민속촌에 가 봤어? : 문형 연습을 할 때 ‘경복궁에 가 봤어?’처럼 역사 관련 단어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부연 설명 형식으로 역사 연계 수업
3) 다음 과제 : 정약용에 대해 다른 접근법 모색(김옥균과 개화사상에 미친 영향)
4. 김희주 - 한국 역사 수업
1) 수업 사례 발표 : 장영실 (첨부 자료 참고)
2) 다음 과제 : 유네스코 문화유산 연계 수업 방안
5. 정광현 선생님 – 한국 역사 수업
1) 수업 사례 발표 : 장영실과 에디슨을 비교한 학습(첨부 자료 참고)
2) 다음 과제 : 조선 성종 이후 인물
안녕하세요!
지난 4월 14일에 성바오로 정하상 한국학교에서 제 5차 역사문화 연구위원회 모임이 있었습니다. 이번 모임의 주된 내용은 지난 모임에서 과제로 주어졌던 수업 지도안과 실제 수업 사례를 발표하고, 이에 대한 다른 선생님들의 의견을 들어보는 것이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임종각 선생님 - 한국어 수업 중에 함께 배우는 역사/문화 (대상: 5~7학년)
1) 수업 사례 발표
- 한국어 낱말 퍼즐을 할 때 역사 관련 어휘를 섞어, 관련 어휘가 나올 때마다 역사를 간단하게 설명해 주기
2) 다른 선생님들의 의견
- 학생들의 관심을 유발할 방법에 관한 고민이 필요
예) 학생들에게 일반 단어와 역사 관련 단어를 나누어 제시하고, 역사 관련 낱말을 찾는 학생에게 플러스 점수를 주기
- 시대별, 또는 주제별 낱말을 제시하여 역사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도울 필요
3) 다음 과제 : 금속활자
2. 김지선 선생님 - 한국 문화 수업 (2~3학년)
1) 수업 사례 발표 : 놀이를 통한 한국 문화 수업 사례
- 윷놀이 : 윷에 대한 설명과 놀이 방법을 알려주고, 윷놀이하기
- 태극기 : 건/곤/감/리의 의미를 알고, 직접 태극기를 그리고, 만들어 보기
- 애국가 부르기 대회 : 애국가에 나오는 단어들로 ‘이구동성’ 게임 하기
2) 다른 선생님들의 의견
- 충분한 수업 자료 필요
예) 윷놀이 : ‘도/개/걸/윷/모’가 부여 관직의 이름을 알려주면서 부여에 관한 역사 수업을 곁들인다거나, 학생들이 직접 말이 되는 큰 윷놀이하기
예) 태극기 :원래 태극 무늬가 빨강/노랑/파랑 3색 태극이었고, 이것이 천/지/인을 상징한다는 등의 설명을 함께 해 주기
- 한 가지 주제로 초급뿐만 아니라, 중급/고급에서도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 방안 모색이 필요
3) 다음 과제 : 놀이를 통한 한국 문화 수업(초급뿐만 아니라, 중급/ 고급에서도 할 수 있는 활동 방안 모색)
3. 김수미 선생님 - 한국어 수업 중에 함께 배우는 역사/문화
1) 수업 사례 발표 : 한국어 읽기 시간에 함께 배우는 역사 수업 사례
- 정약용과 실학 사상 : 정약용에 관련된 읽기 자료 제시, 낱말 퍼즐을 통한 단어 학습 (첨부 자료 참고)
2) 다른 선생님들의 의견
- 보다 쉬운 읽기 자료 제시 필요
예1) 어려운 실학이 아닌 정약용의 삶에 초점을 맞추어 수업하기. 이때, 정약용과 비교 가능한 인물, 또는 이야기(정약용의 조카인 정하상 / 이민 1세대의 삶과 정약용의 유배 생활) 등을 곁들여 학생들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예2) 읽기 자료를 독해 지문이 아닌 대화문으로 제시하거나, 영어 설명을 첨부하기
- 다양한 수업 활동 방안 모색
예) 정약용에 관한 작은 책 만들기
- 역사 공부를 위한 한국어 수업이 되지 않도록 주어진 한국어 교재 안에서 역사 관련 주제를 찾아보기
예) <맞춤 한국어 6> 13과 민속촌에 가 봤어? : 문형 연습을 할 때 ‘경복궁에 가 봤어?’처럼 역사 관련 단어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부연 설명 형식으로 역사 연계 수업
3) 다음 과제 : 정약용에 대해 다른 접근법 모색(김옥균과 개화사상에 미친 영향)
4. 김희주 - 한국 역사 수업
1) 수업 사례 발표 : 장영실 (첨부 자료 참고)
2) 다음 과제 : 유네스코 문화유산 연계 수업 방안
5. 정광현 선생님 – 한국 역사 수업
1) 수업 사례 발표 : 장영실과 에디슨을 비교한 학습(첨부 자료 참고)
2) 다음 과제 : 조선 성종 이후 인물